대상 포진
개요
어린 시절에 감염된 물방울과 같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피로나 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몸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다시 활동을 시작함으로써 일어나는 질병. 보통 몸의 좌우 어느 한쪽의 신경의 흐름을 따라, 띠 모양으로 통증을 가진 붉은 부츠부츠로 한 발진이나 물집 등이 많이 발생한다. 3주 정도 정도로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바이러스에 의해 신경이 손상되어 발진이 있어도 통증만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상태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라고 불리고 있다. 대상 포진이 나타나는 장소에 따라 난청, 안면 신경 마비 , 각막염 , 망막염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원인
물 방울 과 같은, 감염력이 매우 강한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일종인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한다. 이 바이러스에 어린 시절에 처음 감염되면 2~3주간의 잠복기간 후에 물집이 전신에 퍼지는 물방울이 된다 . 물방울 은 1주일 정도로 낫지만, 그 후에도 바이러스는 척수 근처의 신경절이라고 불리는 장소에 가만히 잠복해 계속, 사라지지 않는다. 그리고 피로와 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다시 날뛰고, 신경을 통해 피부까지 도달한다. 그렇게 하면 며칠~10일간 정도 피리삐리와 찌르는 통증이 계속된 후 몸의 좌우 어느 한쪽의 신경을 따라 띠 모양으로 붉은 발진이 생겨 강한 통증을 수반하는 중앙이 흐린 작은 물집도 모여 출현 한다. 또한, 바이러스에 의해 신경이 손상된 결과, 발진이 치유된 후에도 통증만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될 수도 있다.
증상
일반적으로 가슴, 복부, 등, 얼굴, 머리 등의 좌우 어느 쪽인가에, 처음에는 삐걱 거리는 듯한 신경통과 같은 통증이 일어난다. 그 후, 딱딱한 붉은 발진과 물집이 띠 모양으로 생겨 통증이 점차 증가합니다. 잠들 수 없을 정도로 아프기도 하고, 일이나 가사 등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오는 일도. 동시에 발열, 림프절의 붓기, 두통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약 3주일에 물집 등의 증상은 완화되지만 피부에 흔적이 남는 경우도 많다. 중증화되면 바이러스가 전신으로 돌면 몸의 넓은 범위에 발진이 나타납니다. 목에서 위의 대상포진은 중증으로 난청, 시력장애, 안면신경마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검사·진단
물방울 에 걸린 적이 있는지 등을 환자로부터 청각한 후, 몸의 좌우 어느 쪽인가에 띠처럼 발진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피부의 증상을 확인하는 것으로 진단된다. 그러나 대상포진과 비슷한 병에 단순 헤르페스 와 접촉 피부염 , 수포성류 천포창 등도 있기 때문에 진단을 확정시키기 위해 혈액 검사나 환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병리 검사, 혈액 중의 바이러스 항체를 검출하는 감염증 면역학적 검사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혈액검사는 대상포진이 아직 딱딱한 통증만으로 물집이 생기기 전의 단계일 때에도 정말 대상포진인지를 조사할 목적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치료
중증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가능한 한 빨리, 이상적으로는 물집이 있는 붉은 발진이 나타나고 72시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실시함으로써 발진이 사라진 후에도 오랫동안 통증만이 계속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에 이르는 것을 막는 목적도 있다. 치료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가 사용된다. 기본은 음료이지만 중증의 경우 등은 점적이나 주사로 투여한다. 대증요법으로 통증을 억제하는 진통제나 항간질제를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눈이나 귀 등에 합병증이 있는 경우는, 각각의 병에 응한 치료를 실시할 필요도. 또, 대상포진은 면역력이 저하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정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50세 이상인 경우에는 대상포진을 예방하고, 발병해도 증상이 가볍게 끝나도록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추천되고 있다.
예방/치료 후 주의
물방울 에 걸린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대상포진을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체내에 숨어 있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활동을 재개하지 않게, 수면을 제대로 취해 적당한 운동을 하고, 영양 밸런스가 잡힌 식사를 유의해, 입욕 등으로 몸을 릴렉스시키는 습관을 붙이는 것으로, 면역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일상생활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상포진의 치료 중에는 바이러스가 다시 증식하지 않도록 처방된 약이 없어질 때까지 마시고 환부를 식히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